레귤레이터는 압력조절 장치 O/X

조회수 1173

레귤레이터

[레귤레이터는 압력조절 장치 O/X]

펌프를 구매할 때 레귤레이터를 추가하시는 분들 많으시죠?
많은 분들이 레귤레이터를 달면 펌프의 압력을 더 세게 조절할 수 있다고 알고 계십니다.
그렇다면, 과연 레귤레이터는 압력을 직접 조정하는 장치일까요?

정답은, 아티클을 끝까지 읽어주세요!




오늘의 목차

  1. 흡입구, 토출구 그리고 퇴출구
  2. 레귤레이터로 펌프압력을 늘릴 수 있나요?
  3. 레귤레이터 조작법
  4. 펌프 수명을 늘리기 위해선



흡입구, 토출구 그리고 퇴출구

노스스타 DC펌프에는 2가지의 구멍이 있습니다. 
1. 펌프로 액체가 들어가게되는 : 흡입구
2. 끌어당긴 액체를 내뿜게 되는 : 토출구


더하여, 펌프 사용시 액체 양을 조절하기 위한 퇴출구도 있습니다.
ex)토출량을 줄이고 싶은 경우, 흡입이 된 액체의 일정 양을 다시 밖으로 빼내어야 
고정값으로 토출이되는 액체 양을 줄일 수 있겠죠.
그 구멍이 바로 퇴출구입니다.
펌프가 생성한 압력을 이용하여 액체를 외부로 밀어내는 : 
퇴출구

일정한 양으로 토출을 원하시는 분들은 레귤레이터가 필요 없으시지만,
액체의 양을 조절해가며 작업을 원하시는 분들께선 레귤레이터를 꼭 찾으시죠.




레귤레이터로 펌프압력을 늘릴 수 있나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죠, 아니요. 레귤레이터는 펌프압력을 직접적으로 조절하는 장치가 아닙니다.
(압력조절을 할 수 있는 장치는 레귤레이터가 아닌 PWM 압력조절다이얼이 따로 있습니다. 
다음화에 따로 다루도록 하죠.)

흡입구로 들어가게 되는 액체는 흡입량의 60% 이상을 토출 혹은 퇴출 구로 나가게끔 해줘야 합니다.
액체가 어느 쪽이든 흡입량의 60% 이상 나가지 못하게 될 경우, 더 이상 흡입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펌프 안의 마이크로스위치(마이크로스위치에 대한 설명은 이전 화 참고) 가 펌프 작동을 멈추어 버리게 됩니다.
이는 펌프 내부 부하의 원인이 됩니다.

이렇게 내부부하가 걸릴 경우, 바이패스를 시켜줌으로써 부하를 낮추는 기능을 하는 장치가 바로 레귤레이터!입니다.
레귤레이터 사용은 펌프의 수명을 연장시키며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내부부하를 막기 위해 물 양을 조절해 주는 장치 : 레귤레이터)

*바이패스 : 펌프 흐름을 우회하여 퇴출로 나가게하는 경로. 
이 경로는 일반적으로 펌프의 입구와 출구 사이에 설치되는 배관 또는 파이프로 형성됩니다.


[내부부하 셀프체크]

  • 펌프 헤드쪽에서 '딱딱딱' 거리는 소리가 들린다.
  • 모터가 멈췄다가 다시 작동하는 반복적인 현상이 나타난다.
  • 토출량이 울컥울컥하면서 일정하지 않다.




레귤레이터 조작법

레귤레이터를 +,-쪽으로 돌려가며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 쪽으로 돌리면 퇴출구로 가게 되는 액체는 줄어들고 분사되는 토출량이 늘어나게 되고
(-) 쪽으로 돌리면 퇴출쪽의 액체가 많아지며 분사되는 토출량은 줄어들게 됩니다.




펌프의 수명을 늘리기위해선

펌프의 수명은 곧 '원활한 토출'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내부부하를 줄이고 원활한 토출을 위해선 펌프 사양에 맞는 노즐을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노스스타 전용 레귤레이터 바로보러가기

https://www.northstarkorea.com/55/?idx=244



오늘은 레귤레이터의 쓰임새와 역할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여전히 레귤레이터를 압력을 조절할수 있는 장치라고 생각하시는 건 아니시죠? 
프리미엄급 DC펌프를 여러분께 더 쉽고 재미있게 다가갈 수 있도록 노력하는 노스스타와 함께, 오늘 메거진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ㅎ


그럼 다음 매거진에서 만나요.


3 0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